반응형
정부가 함께 저축해주는 찬스! 청년이라면 지금 주목해야 할 청년도약계좌를 소개합니다. 가입 조건부터 수령 금액, 해지 시 주의사항까지 꼭 알아야 할 모든 정보를 담았습니다.
가입 조건 – 누가 신청할 수 있나요?
청년도약계좌는 다음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어요.
기본 자격
- 연령: 만 19세 ~ 34세
(※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에서 제외 가능) - 개인 소득: 연소득 7,500만 원 이하
- 가구 소득: 기준 중위소득 250% 이하
가구원 수연소득 기준 (250%)
1인 | 66,853,350원 |
2인 | 110,478,270원 |
3인 | 141,439,710원 |
4인 | 171,897,390원 |
5인 | 200,872,050원 |
6인 | 228,551,070원 |
7인 | 255,449,820원 |
정부지원금 – 얼마나 받을 수 있나요?
청년도약계좌의 핵심 장점은 바로 정부의 지원금입니다.
정부지원 혜택 요약
- 매월 최대 70만 원 납입 가능
- 소득 수준에 따라 납입액의 최대 6%까지 정부기여금 지원
- 이자소득세 전액 비과세 (5년 유지 시)
예상 수령액 (5년 기준)
월 납입금총 예상 수령액 (이자+정부지원 포함)
70만 원 | 약 5,000만 원 |
50만 원 | 약 3,540만 원 |
30만 원 | 약 2,120만 원 |
※ 정확한 수령액은 소득 구간 및 은행 우대금리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추가 혜택
- 정부기여금: 소득 구간별 차등 지급
- 비과세 혜택: 납입액 + 정부기여금 이자에 대해 세금 없음
- 우대금리: 저소득 청년 대상 추가 금리 제공
중도해지 및 부분인출 – 주의할 점은?
일반 중도해지 시 불이익
- 정부지원금 전액 반환
- 이자소득세 부과
- 비과세 혜택 상실
예외적 해지 사유 (혜택 유지 가능)
- 주택 구입
- 폐업
- 중대한 질병
- 해외이주 등
부분인출 – 언제부터 가능할까요?
부분인출은 가입 2년 후부터 가능, 인출 시점에 따라 혜택이 달라집니다.
구분가입 3년 경과 전가입 3년 경과 후
이자 | 과세 적용 | 비과세 적용 |
정부지원금 | 미지급 | 60% 지급 |
인출금 금리 | 중도해지금리 적용 | 기본금리 적용 |
마무리 정리
청년도약계좌는 조건만 맞는다면,
정부의 든든한 지원 아래 안정적으로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입니다.
- 가입 요건 충족 여부 꼭 확인하세요.
- 중도해지 시 불이익이 크니 계획적으로 납입하세요.
- 신청 기한을 놓치지 마세요!
반응형